해양 생태계파괴 우려...적시수거시스템 구축 제안
환경운동연합, 국가해안쓰레기모니터링 결과 발표

해안쓰레기를 수거하고 있는 시민들.

지난해 제주지역 국가해안쓰레기모니터링 결과 플라스틱 쓰레기 문제가 가장 심각했고, 외국에서 흘러온 쓰레기 가운데 중국쓰레기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환경운동연합은 제주자원순환사회연대와 함께 김녕리, 사계리 해안을 조사한 결과 해양쓰레기 2474개 가운데 플라스틱이 47.2%(1168개)로 나타났다. 뒤를 이어 외국기인 쓰레기가 16.9%(419개) 스티로폼 쓰레기가 14.3%(355개)로 나타났다고 17일 밝혔다.

가장 많이 버려진 플라스틱쓰레기는 상당부분이 페트병류이며, 이외의 비닐류 등의 생활계 폐기물이 많았다.

그리고 어업관련 쓰레기도 많이 수거됐다. 주로 부표와 어구, 밧줄 등이 주를 이룬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많이 수거된 외국기인쓰레기 절반 이상은 플라스틱 페트병이고 그 외 대부분은 어업관련 쓰레기로 확인됐다. 외국기인쓰레기는 대체로 중국에서 기인한 쓰레기이며 일본과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지역, 남태평양에서 발생한 쓰레기도 일부 포함된 것으로 나타났다. 스티로폼 쓰레기 대부분은 어업관련 쓰레기, 특히 남해안 등 양식어업에서 발생한 것으로 환경단체는 추정하고 있다.

환경운동연합은 이번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해양오염의 주범으로 지목되는 플라스틱이 제주도 해양쓰레기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것으로 확인됐다”며 “그만큼 제주도 연안이 플라스틱쓰레기로 인해 위협을 받고 있다는 것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환경보호 운동가들은 플라스틱쓰레기가 위험한 이유가 쓰레기가 마모되고 파손되는 과정에서 잘게 부서져 미세플라스틱으로 변하기 때문이라고 우려하고 있다.

미세플라스틱은 오염물질을 빨아들이는 능력이 탁월할 뿐 만 아니라. 그 자체로 유기화합물이기 때문에 유독하다고 알려져 있다.

미세플라스틱은 해양생물에게 섭취되어 궁극적으로는 우리의 밥상으로 올라와 인류 건강을 위협하고 있다고 환경단체들은 지적하고 있다.

특히 이번 조사에서는 대부분 외국기인쓰레기가 중국동부해안에서 해류를 타고 제주도로 오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는 중국의 경제성장에 따라 중국동부해안지역에 공업지역이 크게 늘고 더불어 인구 역시 증가하는 추세와 맞물려 있으며, 최근 증가하고 있는 제주도 인근해상에서의 불법어획행위와도 무관치 않은 것으로 환경단체는 보고 있다.

환경운동연합은 대책으로 해양쓰레기를 적시에 수거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환경운동연합은 “수거처리를 위한 예산증액과 해양환경관련 담당부서의 인력확충이 반드시 전제돼야 한다”며 “또한 해양쓰레기가 지역 내 폐기물 처리난을 가중시킬 우려가 있다는 점을 고려해 폐기물관리정책 수립시 해양쓰레기문제도 깊이 있게 다뤄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저작권자 © 제주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