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훈학회-제주여성가족연구원 15일 공동학술세미나 개최
1만7천여명 해녀항일운동…제주출신 독립유공자 서훈 5명 불과

한국여성항일독립사에서 묻혀진 제주여성의 항일독립운동 활동을 재조명 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다.

제주여성가족연구원(원장 이은희)는 15일 오후 1시부터 제주대학교 아라컨벤션홀에서 한국보훈학회·한국여성독립운동연구소와 함께 '세계평화를 향한 여성독립운동과 역할, 그리고 보훈외교의 내일'을 주제로 제51차 하반기 정기학술대회를 개최했다.

이날 세미나는 ▲제주여성 독립운동(제1세션) ▲여성인권과 한·일 관계(제2세션) ▲국가유공자 법 제도 개선 방안(제3세션) ▲보훈외교와 6.25참전국(제4세션) 등 4개 세션과 종합토론 순으로 진행됐다.

특히 이날 세미나에서는 그간 주목받지 못했던 '제주여성 독립운동' 재조명을 위한 발표가 이어졌다.

'한국여성독립운동사에 제주여성독립운동가들의 활동 특성과 의미' 토론에 나선 김영순 제주여민회 공동대표는 "타지역에서 여성항일운동이 노동운동, 가부장제 변화 등과 맥을 함께 했다면 제주는 여성애국계몽운동과, 생존권 투쟁인 해녀항일운동으로 구분된다"고 밝혔다.

이어 김 대표는 "1996년 저술된 '한국여성항일 운동사 연구'에 따르면 제주지역 여성독립운동가에 대한 기술이 없고, 5명만이 독립유공자 서훈을 받았다"며 "이외에도 활동기록은 있으나 국가로부터 서훈을 받지 못한 여성독립운동가들에 대한 자료조사와 재평가가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김 대표는 "제주도가 발간한 '시대를 앞서간 제주여성'에 실린 사진에는 추도비 앞 12명이 찍은 사진이 있는데 전부 할머니들뿐이었다는 사실은 제주여성항일운동의 역사는 잊혀지고 있었고 잊혀졌다고 볼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일제 강점기 제주해녀 항일투쟁의 의의' 토론에 나선 장혜련 문화재청 문화재감정위원은 "일제 강점기 제주해녀를 둘러싼 갈등을 물상객주의 횡포, 출가지역 어업인들과 입어분쟁 및 차별대우, 제주도 해녀조합의 어용화로 나눌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장 위원은 "해녀보합은 해녀의 권익보호는 커녕 상권을 일본인과 하수인에게 넘겨주는 무소불위의 횡포를 자행했다"며 "결국 이같은 횡포는 1932년 제주해녀항일투쟁으로 이어져 1만7130명이 참여했다"고 덧붙였다.

특히 장 위원은 "해녀투쟁은 출가물질의 입어권 분쟁, 생존권 투쟁을 넘어 일제의 식민지 수탈 정책에 맞섰던 항일운동이었다"며 "전 도민적 항일운동이었을 뿐 아니라 일제강점기 한반도에서 전개됐던 항일운동 가운데 여성운동으로서, 어민투쟁으로서 독보적 위치를 차지한다"고 역설했다.

저작권자 © 제주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