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도입 후 여전히 '표류중'…제도 홍보에만 급급
싸구려 전락 우려…1회성 예산 아닌 체계적 육성 필요

[제주도민일보DB] 제주화장품인증제도.

청정 제주 이미지 브랜드 구축을 위해 야심차게 도입한 '제주 화장품 인증제도'가 3년이 지나도록 안착을 못하며 총체적 난국이라는 지적이다.

20일 속개된 제주도의회 제370회 임시회 예산결산위원회의 제1차 추가경정예산안 심사에서 의원들은 제주화장품 인증제도와 관련한 체계적 육성 필요성을 주문했다.

2016년 4월 첫 발을 내딛은 제주화장품 인증제도는 제주산 원물을 포함한 제주산 원료를 10% 이상 함유하고, 도내 소재 생산시설에서 생산된 화장품을 제주도가 인증하는 제도다.

제주화장품의 지속 가능한 발전과 화장품산업 기술경쟁력 확보를 통한 매출과 고용창출, 지역경제 활성화 기여, 제주화장품 우수성 확보 및 경쟁력 강화, 체계적 관리시스템 구축 등 장미빛 청사진을 제시한바 있다.

그러나 제도 도입후 3년이 지난 지금 유명무실해진 상황.

더욱이 제도 자체에 대한 홍보에만 급급, 쇼핑몰 홈페이지도 시대에 뒤쳐지게 운영되는데다, 싸구려 전락 우려마저 제기되고 있는 현실이다.

좌측부터 문종태, 고은실, 강민숙 의원.

문종태 의원(더불어민주당, 일도1·이도1·건입동)은 "제주인증화장품 쇼핑몰 고도화사업 3000만원이 편성돼 있다. 사이트 고도화시키는 거냐"고 물었다.

이에 노희섭 미래전략국장은 "현재 홈페이지는 디자인이나 사용성이 많이 떨어지고 있다"고 답했다.

이에 문 의원은 "실질적 관리를 자회사인 제이어스에서 하는데 홈페이지를 보며 상품소개만 하고 광고모델도 없고, 사용후기를 적는 커뮤니티 공간도 없다"고 지적했다.

특히 문 의원은 "제주도가 화장품 산업의 메카가 될 수 있음에도 청정 자연이 대기업 원료로만 공급하는 수준에 그치고 있다"며 "블록체인에만 올인할게 아니라 체계적 육성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고은실 의원(정의당. 비례대표)은 "인증제도 도입 이전 제주도 화장품 산업을 이끌어온 화장품기업협회가 있는데, 도입을 앞두고 화장품인증협회가 생겼다"고 중복 문제를 지적했다.

이어 고 의원은 "설비 자체가 예전부터 노력해온 향토기업들이 갖추기에는 애로사항이 많다"며 "상생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고 주문했다.

노 국장은 "중복 회원사가 있기는 하지만 협회간 트러블 등의 문제는 없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며 "협력구조 등에 대한 다양한 방안을 마련하고 있다"고 답했다.

제이어스에서 관리중인 제주화장품인증제도 홈페이지. 사용후기는 단 1건도 없으며, 상품 진열방식 등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강민숙 의원(더불어민주당. 비례대표)은 "지금의 홈페이지를 보면 제이어스 자회사 제품에 제주인증제품이 얹혀 있는 느낌이다"며 "인증을 받은 제주화장품이 소비자에게 매력을 느끼기에는 부족함이 많다"고 지적했다.

가격대와 관련해서도 강 의원은 "싸다고 다 좋은게 아니다. 오히려 싸구려 상품으로 전락하는 수가 있다"고 일침했다.

이에 노 국장은 "품평단 구성 등 마케팅 부분 대안들을 계속 만들고 있다"고 설명했다.

강 의원은 "1회성 예산이 아니고 제대로 갖춰서 활용할 수 있겠금 낭비성 예산이 돼서는 안된다"며 "제대로 된 계획을 수립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저작권자 © 제주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